저는 GPS를 라이트룸에서 손으로 입력했었습니다.
그러다가 새로운 아주 놀라운!! 정보를 입수하게 되어 이렇게 공유하고자 합니다.
방식은 아래와 같습니다.
- 스마트폰으로 GPS 이동 경로 저장
- 라이트룸에서 이동한 경로를 불러 드림
- 그러면 해당 시간에 경로에서 찍은 사진을 지오태깅 함
이렇게 됩니다.
뭐.. 핸드폰으로 GPS 이동 경로 저장하는 방식은.. 사용해 보시고 좋은 어플을 이용하시면 됩니다.
안드로이드에는 My Tracks, Sports Tracker, Endomondo 등이 있으며, 아이폰에는 GPX master 등이 있는데 좀 더 직접 찾아 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.
어제 핸드폰으로 테스트를 좀 해 봤습니다.
일단.. My Tracks에서 GPS 경로를 아래와 같이 저장을 합니다.
위와 같이 저장을 하고요.. 메뉴를 눌러 SD 카드에 저장을 선택합니다.
거기에 GPX로 저장을 선택합니다.
그리고 운동기록 파일 공유를 선택합니다.
전 드롭 박스에 저장했습니다.
저장된 테스트.gpx 파일을 라이트룸에서 로드 합니다.
로드 하기 전에 저는 어제 GPS 트래킹 하면서 사진을 찍어 놨습니다. 핸드폰으로요…
여기에서 상단의 지도 메뉴를 선택합니다.
그리고 탑 메뉴에서 지도 –> 트랙 로그 –> 트랙 로그 로드를 선택합니다.
지도 밑에 물결 표시를 누르셔도 됩니다.
저장되어 있는 GPX 파일을 엽니다.
그리고 하단 썸네일 이미지에서 지도표시를 할 이미지를 선택합니다.(다중선택)
메뉴에서 선택한 3개 사진 자동 태그 지정을 선택합니다.
그러면 아래와 같이 자동으로 사진 찍은 위치의 GPS 경로가 짠 하고 박힙니다.
하단 부 썸네일에도 이쁘게 지도 표시가 되어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.
자~ 멋진 사진에 지오태깅하는 방법을 보셨습니다.
궁금한 점이나 문의 사항이 있으면 댓글 남겨 주세요~
마지막으로 어제 찍은 사진 올려 봅니다.
핸드폰으로 찍은 거라.. 별로입니다. *_*
감사합니다.
“나들이” 앱 특징
1] 배터리 소모가 적다
야외에서 제일 중요한 사항, 다른 어플은 3~4시간 산행하면
통화하기도 힘들어요
제가 사용하는 중요한 이유 입니다
2] 기본기능에 충실하다
트래킹기능지원, 네이버 오프라인 지도지원, 단체위치공유지원
등산시 산속에서 3G / LTE 망과 연결이 않되는 경우에도 미리 다운받은 지도를 이용 위치를 확인(다양한 사이즈로 다운로드가능)
(오프라인 지도의 최대 장점)
1] 산행전 등산하려고하는 지역의 지도를 미리 다운로드를 받는다
(데이터 요금절약)
2] 등산용 앱은 지도를 다운로드 받는 경우 유로인 경우가 많은데
이 앱은 무료 입니다
(앱도 무료 , 다운로드 지도 무료 !!!, 이앱을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)
3] 산행도중 사진 이나 메모를 하는 경우 트래킹정보와 함께 추후 확인
4] 메모기능, 다이알로그기능, GPX파일합치기 기능, 다양한 설정기능
5] 볼륨키을 이용한 지도확대/축소기능, 통계기능,
6] 일반지도,위성지도,자전거 지도 지원
단체위치공유 기능
1] 가족/연인/친구들이 놀이 동산에 가서 이동 중 헤어지는 경우 서로의
위치를 확인가능
2] 번개시 사용하면 매우 유용해 보임
전체적으로이 앱은 모든 것이 무료라 사용하기에 편하고 , 배터리 소모도 적고, 응용분야도 많아서 좋은 것 같습니다
적극추천 합니다
카페에서 가져온 내용입니다
자세한사용방법은 네이버에서 “나들이동호회”를 검색해보세요
http://cafe.naver.com/sannadeuli